테라의 UST가 19.5%의 높은 이자율을 바탕으로 크로스체인 확장과 더불어 루나의 불장 및 UST의 확장이 오면서 이런 시스템이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만들어지고 있습니다. 한가지는 Near의 USN으로 Near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이고, 다른 하나는 트론의 창시자인 저스틴선이 만드는 USDD입니다.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.
🟩 USN (NEAR)
▪️ NEAR를 포함한 USDT가 리저브 펀드임
▪️ 온체인 재정 거래로 가격 유지
▪️ NEAR를 이용해서 USN를 민팅. 민팅에 사용된 NEAR를 리저브로 이동
▪️ USN의 APY는 초기 20%정도로 예상되며, 이후 최소 NEAR의 스테이킹 비율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 (현재 11%)
▪️ USN 론칭 완료
🟩 USDD (TRON)
▪️ TRON 토큰으로 출시후 BSC 및 ETH등 확장 예정
▪️ 1 USDD를 1USD치의 TRX로 환전 (테라의 UST 시스템 복제)
▪️ 리저브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TRX 포함 약 10B USD치의 리저브로 주장
▪️ USDD의 APY는 30%로 세팅
▪️ 5월 5일 론칭 예정
🔰 개인적인 생각
우선 트론의 가격은 USDD의 소식이 나오고 20% 가량 올랐으나, 현재는 다시 소식 이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는 상태입니다. NEAR의 USN의 경우는 테라와는 약간 상이한 설계로 NEAR의 최소 스테이킹 비율과 비슷한 스테이블 이자를 지급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서 앞으로 시장의 자금 흐름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성공할지가 주목됩니다. 트론의 USDD의 경우는 그동안 저스틴선이 시장에 보여왔던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마무리하지 않는 습관적 패턴으로 단기 성공은 기대해볼 수 있으나, 장기적인 성공은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.
우선 USDD는 프로젝트를 강제로라도 성공시키기 위해서 저스틴이 소유하고 있는 TRX등에 대한 USDD 전환이 예상되며, 리저브로 잡은 30%의 이자율도 초기에는 저스틴이 큰 포션을 직접 가져갈 수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. 이후 UST로 흘러가던 자금이 30%라는 삼투압 작용으로 USDD로 장기 이동될지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. 단기적인 자금 이동 흐름은 분명히 나올 것으로 보이나, 사실상 USDD의 활용처나 기반 프로토콜이 이후에 받혀주지 않는다면 빠른 리저브 소모후 USDJ와 비슷한 처지가 될 수 도 있습니다.
👉참조링크 : https://bit.ly/3kkXZOv
👉원본링크 : https://t.me/jayplaystudy